
— 감성과 이성, 인간 사회의 변화에 대한 챗GPT 문답
나:
인간의 사고방식이 결국 뇌라는 장기의 활동으로 설명된다면, 감성과 이성 중 무엇이 세대를 거듭하며 강화되고 있을까?
챗GPT:
유전적으로는 인간의 공감 능력·감정 조절 능력 등이 여전히 유지되고 있고 없어질 기미도 없습니다.
하지만 문화·기술·사회 시스템 수준에서는 이성적 판단, 계산 가능성,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빠르게 강화되고 있어요.
즉, 생물학적 진화는 감성 유지, 문화적 진화는 이성 강화라는 상반된 흐름이 동시에 나타나는 중입니다.
나:
자연선택뿐 아니라 사회적 선택까지 포함해서 보면, 이성이 증가하고 감성이 감소하는 현상이 실제로 보인다는 거지?
챗GPT:
네. ‘신체적 감성은 그대로인데, 사회적 행동은 점점 이성적으로 의사결정하려는 방향’이라는 변화가 관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변화는 “인간이 감정을 잃어가는 것”이라기보다 감정의 영향력이 제도·기술에 의해 약화되는 과정에 가깝습니다.
나:
그럼 지금 사회에서 권력이나 부를 많이 가진 사람들, 즉 생존에 유리한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더 이성적일까? 그런데 한편으론 그들의 결혼률이나 출산률은 낮을 것 같은데?
챗GPT:
현대의 ‘성공자’는 평균보다 훨씬 더 이성적·자기통제적이지만, 그들이 유전적으로 대를 잇는 비율은 낮습니다.
사회적 성공과 유전적 성공(출산)은 분리되어 있어요.
- 현대사회에서 부·권력·교육 수준이 높은 계층일수록 출산률이 낮습니다.
- 반대로 경제적으로 불리한 계층이 평균 출산률은 높습니다.
그래서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이 유전적으로도 더 번창하는 구조는 이미 무너진 상태예요.
즉, 사회적 선택이 유전자 선택으로 이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현대 사회는 “이성이 진화적 우위를 점하지만 유전적으로는 감성이 남는” 과도기라 할 수 있습니다.
나:
너는 “이성이 우위를 점하지만, 유전적으로는 감성이 남는 과도기”라고 했는데, 그럼 결국 인간이 영화 <스타트렉>에 나오는 벌컨족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학자들의 가설은 없어?
챗GPT:
여러 학자들이 두 가지 방향을 상정합니다.
- 초개인화 방향
- AI·기술·데이터 중심
- 감정은 관리 대상
- 개인 이익에 최적화된 합리성
→ 현재 인류가 가는 방향과 가까움.
- 시스템 중심의 이성화 방향
- 감정보다 논리·안정성 우선
- 장기적으로 종 전체의 지속성을 목표
→ ‘벌컨족 모델’과 유사.
나:
그렇다면, <스타트렉>의 벌컨족은 극도로 이성적인데도 결혼하고 종을 잇지? 그건 어떻게 논리적으로 설명되는 거야?
챗GPT:
벌컨족은 감정을 완전히 없앤 게 아니라 감정을 통제하는 문화·의식을 갖춘 종입니다.
결혼·번식 역시 감정의 충동이 아니라 논리적·사회적·전통적 제도로 운영되죠.
- 결혼은 감정이 아니라 사회적 계약
- 번식은 개인의 욕망이 아니라 종의 안정성 유지
- 가계·클랜 시스템이 엄격하게 존재
따라서 “세대를 잇는 것은 장기적으로 종에게 유리한 전략”이라는 것이 벌컨족식 ‘이성’이에요.
나:
하지만 현재 인류는 공동체보다 개인이 더 중요해지는 초개인 사회로 가고 있어. 이성적인 존재라면 공동체보다 개인을 우선하는 게 맞다고 판단하는 걸까?
챗GPT:
이 질문의 핵심은 이성이 어떤 단위를 중심으로 작동하느냐입니다.
- 인류의 이성은 '개인 단위'
→ 효율·자기결정·개인의 행복 극대화
→ 초개인화가 자연스러운 결과 - 벌컨의 이성은 '시스템 단위'
→ 종, 문명, 논리체계의 안정성
→ 개인보다 공동체가 우선
즉,
인류는 ‘단기적·개체적 이성’
벌컨은 ‘장기적·시스템적 이성’
이라는 차이가 있어요.
인류의 이성화는 개인 효용 최적화에 맞춰진 진화이고,
벌컨식 이성화는 문명 자체의 지속성을 목표로 한 진화입니다.
📌 결론: 인류는 벌컨족이 될까?
- 신체적으로는 감성을 보존한 채
- 사회적으로는 이성화가 가속되는 방향
즉, 감성적 동물의 뇌 + 점점 논리화되는 사회 시스템이라는 과도기를 지나고 있습니다.
인류가 벌컨족 같은 사회로 갈지, 아니면 초개인화가 극단적으로 이어질지는
“이성이 개인을 위한 것인가, 시스템을 위한 것인가?”에 달려 있습니다.
'산문 > 잡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감사 대신 발견으로 (0) | 2025.09.16 |
|---|---|
| 인생에 답은 있다 (0) | 2025.04.13 |
| 사랑은 변할까 변하지 않을까? (0) | 2023.12.02 |
| 풀숲에 대한 중2병적 사유 (1) | 2021.03.30 |
| 사실, 상실, 망실 그리고 기실 (0) | 2020.10.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