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문/잡설72

풀숲에 대한 중2병적 사유 풀-숲 「명사」 풀이 무성한 수풀.≒초망. 풀숲은 우리가 숲이란 단어로 흔히 떠올리는, 나무가 우거진 일반적인 숲과는 다르다. 숲에는 울창한 나무 사이로 길이 있고, 그 길 따라 숲 자체가 인간에게 열려있는 반면, 풀숲은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는다. 풀숲은 인간에게 금기된 지역 또는 인간의 관심밖 영역이다. 인간이 풀숲에 진입코자 하면 필경 발이 구덩이나 늪에 빠지기 쉬우며, 혹은 거친 풀들에 종아리가 온통 긁힌다. 풀숲은 들짐승이나 야생의 생명들에겐 되려 열려있다. 풀이 당으로부토 웃자라 숲을 이룬 그곳은 들짐승들이 적으로부터 은폐하고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아늑한 보름자리를 제공해준다. 비단 들짐승뿐만 아니라 작은 생명들인 풀벌레와 개구리 등이 어울어져 살 수 있는 생태계를 풀숲은 제공하기도 한다. 풀.. 2021. 3. 30.
사실, 상실, 망실 그리고 기실  [사실] 회사 동료가 낸 책을 읽게 되었다. 우연찮은 건 아니고, 그가 출판 경험이 있다길래 그를 졸라 기어코 책을 받아낸 것이다. 책은 펀딩을 통해 제작해서 시중에 판매하지 않았기에 구할 길은 그를 통하는 방법 밖에 없었다. 그는 책의 내용이 일기장과도 같아 아직 친구에게조차 보여준 적이 없다고 했다. 며칠을 졸라낸 덕에 받았으니 사실 내게도 보여주기 꺼렸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렇게 나는 그의 책을 손에 넣었다. 표지는 책 이름과 저자가 작은 글씨로 새겨져 있고, 군데군데 책 쌓인 모양의 실루엣이 흰색으로 배치되어 있을 뿐이어서 꽤 단조로웠다. 일반적인 판매용이 아닌지라 독자를 사로잡을 화려한 표지나 문구가 필요 없었을 수 있지만, 그가 직접 책을 디자인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이런 단순한 표지는 그의 감.. 2020. 10. 7.
명왕성과 존재의 인식 사진은 2015년 7월 13일, 뉴호라이즌호가 약 76만8000km 떨어진 곳에서 촬영한 명왕성의 모습이다. 수금지화목토천해명.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 초등학교때 농땡이를 치지 않았던 이라면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9개의 행성의 암기 쯤은 지금도 너끈히 해낼수 있으리라. 만화 을 보고 자란 세대에게는 이 행성들의 영문명도 알게 모르게 외웠을 것이다. 세일러 '머큐리', 세일러 '마스' 등. 명왕성은 세일러 '플루토'였다.그런데 우리가 수십 년간 알고지내던 이 '수금지화목토천해명' 상식 뒤바뀌어 버렸다. 바로 명왕성이 없어진 것이다. '뭣이라? 이럴려고 주입식 교육 아래 교과서 내용을 달달달 외웠던 건 아닐텐데?' 빡빡한 학창시절을 보냈던 나는 바로 이런 식의 .. 2018. 12. 24.
자유주의자, 개저씨가 되다 결혼해 주세요, 노예가 될게요.나는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라는 말을 믿지 않는다. 그 어떤 동물도 가지고 있지 않은 ‘자아’를 가진 동물인 인간이 어떻게 개미나 멸치떼처럼 사회적일 수 있단 말인가. 하지만 인간이 사회적 동물이기를 바라는 지배계층의 인간들이 있음으로 해서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 되었다. ‘사회’가 존재해야 왕도 있을 수 있고, 지주도 있을 수 있고, 사장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개인성향이 펄펄 살아 있는 개체들을 사회적 존재로 세뇌시키고 통제할 수 있는가. 어떻게 하면 일개미나 꿀벌처럼 사회의 존립을 위해 노동력을 헌신하면서 살아가는 존재로 제어할 수 있을까. 개인적 욕망의 가장 강력한 기본 단위는 사랑이다. 개인의 욕망이 멈추지 않는 한 ‘사회’를 구축하는 것.. 2017. 8. 2.
창 너머에서 보일 내모습을 상상하며 #아파트 도시에서도 단독주택을 짓는 이가 늘고 있다. 비결은 일본에서 먼저 인기를 끈, 협소주택이란 용어로 불리는 소형주택이다. 좁게 짓고 층고를 올려 높게 짓지만, 전체적인 면적은 기존보다 검소하게 만들어 비용 부담을 줄인다. 덕분에 땅값 비싼 도시에서도 아파트와 비슷한 가격으로 단독주택 생활을 할 수 있게 됐다. 단독주택을 선택한 사람들 가운데 혹자가 말하길, 아파트 화장실 변기에 앉아 어느날 생각을 했는데 자기 바로 위에서도 누군가 볼일을 보고 있고 아래에서도 볼일을 본다는 사실이 끔찍하게 느껴졌단다. 이제 이런 생각을 하는 이들이 크게 유별나지 않다. 주거 양식에서의 양적 추구에서 이제 질적 추구의 시대가 왔다. 게다가 주거라는 본질로 돌아가고 있는 셈이다. 투자의 목적이 아니라. 그리고 본디 숲.. 2015. 8. 23.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일체유심조. 모든 것은 마음 먹기에 달려 있다. 몇달전 사무실이 이사를 했다. 단층인 한옥 주택에서 4층 건물의 꼭대기 층으로 이사를 했는데, 모든 주방 집기와 개수대가 갖추어져 있었던 지난 한옥 집과는 달리 이곳은 화장실만 덩그러니 있는, 그야말로 사무공간이었다. 여하튼 가스렌지며 많은 주방 집기들을 처분하고 최소의 것들만 가져 왔다. 그래도 냉장고와 전자렌지, 커피포트 정도는 있어 아주 간단한 인스턴트 요리 정도는 해먹을 수 있는 요량이 됐다. 문제는 며칠 전에 벌어졌다. 수납공간도 없는 탓에 평소 컵이며 그릇을 그냥 바깥에 두거나 뚜껑 없는 상자에 넣어놨었다. 그런데! 사무실을 발칵 뒤집을 사건이 일어났으니, 늦은 밤까지 사무실을 지키던 한 직원이 그릇이 담긴 상자에서 바퀴벌레를 발견한 것이다. 해.. 2015. 6. 3.
생태적 시각과 인간의 지성 동태, 황태, 명태와 견주는 생태 말고 생태적 시각, 생태주의 등 용어 속 생태란 무엇일까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단순히 ‘생물이 살아가는 모양이나 상태’라고 정의하고 있지만, 실제 생태라는 용어의 쓰임 속에는 세상을 바라보는 기본 틀로서의 시각이 내포되어 있습니다. 쉽게 이해하려면 ‘환경’과 비교해보면 됩니다. 우리나라는 불과 20여 년 전만 해도 지나친 개발중심주의로 파괴된 환경을 보호하고 복원해야 한다며 환경의 중요성을 재조명하는 사고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하지만 이 시각에는 근원적인 한계가 있었으니 어쨌든 인간중심적이었다는 부분입니다. 세상을 지배하는 고등 생명으로서 인간이 존재하고, 그 인간을 둘러싼 나머지를 환경으로 치부했습니다. 이런 시각과 사고 아래에서는 아무리 환경을 생각한들 .. 2015. 4. 14.
기본소득 제정으로 매달 40만 원씩 받을수 있다면? 일을 하든 안하든 월급과는 별도로 매달 40만 원씩 여러분에게 지급된다면 어떻게 사실 건가요? 게다가 조건 없이 국민 1인당 지급되는 돈이라면? 예를 들어 4인 가족의 경우 월 160만 원을 평생 연금처럼 받을 수 있다면? 분명 이런 돈이 생긴다면 지금과는 다른 삶을 살겠다는 분이 많으실 겁니다. 생계를 위해 포기했던 꿈을 다시 쫓을 수도 있겠고, 지금보다 일하는 시간을 줄여 여행을 한다던가 책을 보는 등 여가를 늘려 삶의 질을 높이겠다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그런데 허무맹랑한 소리 같다고요? 충분히 그리 들릴수도 있지만 사실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얼마 전 재미있는 책이 한 권 나왔습니다. 녹색당 공동위원장을 맡고 있는 하승수 변호사가 쓴 라는 책입니다. 이 책은 생태적 전환과 해방을 위해 국민들에게.. 2015. 4. 8.
무상급식 반대, 오히려 부자 돕는 꼴 경남 도지사의 무상급식 중단으로 시작된 논쟁이 아직도 뜨겁기만 합니다. ‘왜 부자에게도 공짜 밥을 줘야 하느냐’는 주장부터 ‘급식도 교육에 포함되므로 모두에게 혜택을 주는 것이 맞다’는 사람까지 다양한 의견들이 오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작금의 상황을 보면 약간은 갸우뚱한 면도 있습니다. 이준구 교수의 말마따나 우리의 상식으로는 “진보적 견해를 갖고 있는 사람들이 부잣집 자제에게도 공짜점심을 주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무언가 이상한 일”로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돌이켜 말하면, 부자감세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부자에게 제공하는 무상급식-부자급식이란 표현까지 써가며-을 반대하는 건 이중적인 태도로 보이기까지 합니다. 세금은 깎아주라면서 무상급식은 제공하지 말라는 건 앞뒤가 맞지 않으니까요. 이 교수는 이런 반대.. 2015.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