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문/잡설75

국익에 관한 단상 대저 사람들이 생각하는 국익은 아무래도 물질적인 이익, 즉 돈으로 환산되는 모든 것들을 통칭하는 개념일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매우 소극적인 해석에 지나지 않는다. 특히 국가라는 틀을 넘어선, 이름만 들어도 이제 촌스러운, 십수년 전에나 유행했던 용어로 ‘지구촌 시대’인 현재에는 더더욱 매우 짧은 식견에서 나오는 해석일지도 모른다. 그러한 가운데 주목할 만한 일이 있었다. 지난 6월 27일 KBS 9시뉴스에서 ‘해외 수주에 고춧가루’라는 제목으로 국내의 한 환경단체인 환경운동연합이 수자원공사의 태국 사업 수주에 관련하여 수자원공사를 헐뜯는 발언을 했다는 보도였다. 과연 우리는 이 보도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카더라 통신 KBS 현재 국내 기득 정치권 필요로 하는 물타기 이슈라는 점은 차치하고도 이 보.. 2013. 6. 28.
지구를 지켜줘! 어스아워(Earth Hour) “전등을 끄고 별을 만나요!” 일 년에 단 하루, 전 세계적으로 펼쳐지는 전등 1시간 끄기 캠페인 ‘어스아워’(Earth Hour, 지구의 시간)가 올 해도 어김없이 찾아왔다. 2007년 호주 시드니에서 시작된 이 지구촌 행사는 매년 3월 마지막 토요일에 진행되며, 이번 2013년은 3월 23일 저녁 8시 30분부터 9시 30분까지가 전등을 꺼야할 시간이다. 작년에는 무려 152개국 7001여 개의 도시가 참여했으며, 우리나라도 서울시청, 남산N서울타워 등 많은 공공기관과 기업, 시민들이 참여할 예정이다. 이 세계적 행사는 각 나라의 시간을 기준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뉴질랜드가 가장 먼저 시작하게 된다. 사실 우리나라는 심야의 에너지 낭비 및 빛 공해가 심각하다. 에너지시민연대의 지난 조사 결과를 보면, .. 2013. 3. 23.
독립출판, 주류가 부정했던 단면들을 지지하며 최근 들어 두 명의 친구가 내게 독립출판 잡지를 각각 소개해줬다. 와 가 그것이다. 책을 사보진 않았다. 대략적인 정보를 찾아보거나 한두 개의 꼭지를 읽어본 것이 고작이다. 하지만 이것들은 금세 내 마음을 사로잡았다. 기존에 존재하는 매체의 틀에 맞추기 위해 콘텐츠를 고민할 필요 없이, 우리가 가진 다양한 삶의 모습과 사상에서 우러나는 것들을 있는 그대로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가 정의하는 자기 자신을 살펴보면 무엇보다 일상성에 주목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다. 현실과 동떨어지지 않은, 그래서 더 정감이 가는 책인 것이다. “green mind는 단순한 환경 매거진이 아니에요. 이 책은 green + mind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환경을 생각하는 작은 실천과 각오부터 오늘도 하루를 씩씩하게 .. 2013. 3. 17.
잔 속 청춘의 고민 오랜만에 모임을 가졌다. 사실 산발적으로는 종종 만나고 있었지만 그리고 오늘 모임도 결국 산발적인 모임의 규모밖에 되지 못했지만 그것으로도 족했다. 사람이 몇인가에 상관없이 술이 있고 이야기가 있고 웃음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제야 말하지만, 연말연초 꽤나 우울한 생각에 사로잡혀 지냈다. 고민의 내용은 단순명료했다. '앞으로의 생에 과연 새로운 것이 있을까? 비슷한 경험을 해도 처음, 그 잊지 못할 순간의 벅찬 감동이 과연 다시금 찾아올까?' 더이상 삶은 다채롭지 못하며 그저 그런 날들의 연속이 될 것만 같았다. 게다가 직장생활이라는, 내가 선택한 이 '자발적 자유의 제한'은 어쩌면 태어나 지금까지 살며 처음 맞이해보는 성질의 것이었다. 그래서 더 무서웠다. 군대보다 더 숨통을 죄여왔다. 끝이 보이지 않기.. 2013. 2. 8.
한 달의 시간이 지나고 "그들이 왔다. 처음엔 공산당을 숙청했다. 나는 공산당원이 아니었으므로 침묵했다. 다음엔 사회주의자와 노동운동가를 숙청했다. 나는 둘 다 아니었기 때문에 침묵했다. 다음에는 유대인을 잡아갔다. 나는 유대인이 아니었으므로 또 입을 다물고 있었다. 그 다음엔 그들이 나에게 왔다. 그때는 이미 나를 위해 나서 줄 사람이 아무도 남아 있지 않았다." 새롭게 발 담은 사회생활이 어느덧 한 달이 지났다. 짧은 시간이었지만 많은 이야기를 들었고 많은 것들을 보았다. 때로는 화가 났으며 때로는 서글펐다. 돌이켜 보건대 나는 이런것들로부터 눈을 감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행동하는 지성이 되지 못할까 두려웠던 탓이다. 행동에 대한 자신이 없어 지성을 포기했었다. 앎과 실천의 문제를 누구보다 중요시 했기 때문에 더 많은 앎은.. 2012. 11. 6.
어딜가나 경상도 사람들이 많은 이유 통계표명 : 지역별 인구 및 인구밀도[ 단위 : 천명, 명/㎢ ] 2007 2008 2009 2010 2011 인구 인구밀도 인구 인구밀도 인구 인구밀도 인구 인구밀도 인구 인구밀도 계 48,598 487 48,949 490 49,182 492 49,410 494 49,779 497 서울 10,042 16,592 10,081 16,655 10,104 16,694 10,051 16,606 10,026 16,567 부산 3,531 4,612 3,506 4,578 3,488 4,553 3,466 4,517 3,464 4,509 대구 2,479 2,804 2,475 2,800 2,475 2,800 2,472 2,796 2,477 2,803 인천 2,637 2,618 2,682 2,654 2,691 2,620 2.. 2012. 9. 24.
성의식은 개인이 아니라 사회를 따르는가? 그 이중성에 대해 '호주 갔다 온 여자, 필리핀 갔다온 남자와는 결혼 안한다'는 세간의 우스갯소리가 있다. 이는 성(性)과 관련된 이야기로, 필리핀으로 여행가는 많은 한국 남성들이 성매매를 경험한다는 사실과 호주에 다녀 온 많은 여성이 남성과 장기간 동거를 한다는 사실에서 기인한 말로 해석된다. 특히 호주의 경우 내가 저 우스갯소리를 접한지 얼마되지 않아 많은 '전문'여성들이 성매매를 위해 호주로 떠난다는 기사가 보도 되었다. 때문에 이제는 다른 의미로도 해석이 가능할수도 있다. 그러나 본래의 의미는 '동거'에 있다. 나는 둘 중 호주의 이야기를 하려 한다. 필리핀에 대해서는 비록 들은 바는 있으나 현지에서 본 것은 아니기에 일단 뒤로 한 채. 1995년 7월 호주와 워킹홀리데이 비자 협정을 한 이래 수많은 국내 청년들이.. 2012. 9. 14.
무연휘발유와 클레어 패터슨 Clair Patterson 당신은 무연휘발유의 '무연'이 무슨 뜻인지 아는가? 어릴적 나는 무연휘발유는 연기가 나지 않는(無煙) 휘발유로 생각했었다. 실제 집에서 사용하던 고물 디젤엔진트럭은 연기가 풀풀 나는 것에 비해, 무연휘발유를 연소하는 세단 승용차들은 연기가 거의 나지 않았으며 엔진 소리도 조용했기에 의심할 여지가 없었다. 하지만 나중에 알고보니 무연은 연기가 나지 않는다는 뜻의 무연(無煙)이 아니라 납이 첨가되지 않았다는 무연(無鉛)이란 의미였다. 그렇다면 유연(有鉛)휘발유도 있을터인데, 과연 납의 함유에 따른 차이는 무엇일까? 1923년 2월 1일부터 판매된 유연휘발유의 대표적인 상품이 TEL(테트라에틸납)을 첨가한 에틸사(社)의 유연휘발유였다. 납을 첨가함에 따라 옥탄가를 높임으로써 경제면에서는 매우 성공적인 작품이었.. 2012. 9. 12.
친구? 지랄하네... 이 말은 요즘 화제인 드라마 에서 나온 대사다. 윤제(서인국)가 시원(정은지)에게 직접적인 고백을 하지만 시원은 그냥 친구로 남자고 제안한다. 이에 윤제는 "남자가 짝사랑하는 여자에게 구질구질하게 가슴에 있는 것을 다 털어 놨다는 것은 다시는 안볼 생각이라는 것"이라며 자리를 떠난다. 그리고 문 앞을 지날 때 잠시 멈춰 혼잣말 하는 것이다. "친구? 지랄하네...." 극 중 대사가 이렇게 가슴에 남는 것도 참 오랜만이다. 나의 개인적 경험에 근거한 대리만족의 카타르시스를 부정하진 않겠다. 수많은 남성 혹은 여성들이 친구로 지내자는 마지막 말을 뒤로 한 채 상대방과 멀어졌을 것이다. 멀어지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어느 누구도 극중 윤제처럼 속 시원히 말해보진 못한다. 그렇다고 윤제의 방법이 고급(?)스러.. 2012.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