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문419 "공공기관이 먼저 수돗물 먹어야" 1908년 서울 뚝도 정수장 건설로 공급이 시작된 우리나라의 수돗물은 현재 수질 순위 세계 8위로 프랑스, 미국, 독일 등 선진국보다 뛰어나다. 하지만 국내 수돗물의 직접 음용률은 불과 5.4퍼센트로 일본 47퍼센트, 미국 56퍼센트, 영국 70퍼센트 등 다른 선진 국가에 비해 턱없이 낮다. 수돗물을 생산, 공급하고 있는 정부와 지자체들은 국민들에게 수돗물을 믿고 마시라고 재촉한다. 하지만 정작 내부적으론 어떨까? 지난 7월 14일 세간의 주목을 받으며 조례안 하나가 경기도의회에 상정됐다. 경기도 공공기관 등에서 일회용 병입수 제공을 금지하고 수돗물 음수대를 설치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경기도 일회용 병입수 제공 금지 및 수돗물 음용 촉진 조례안’이다. 조례안을 대표 발의한 양근서 의원을 만나봤다. 공.. 2015. 8. 22. 빙수의 귀환, 팥과 얼음의 연대기 “빙수야 팥빙수야, 사랑해 사랑해. 빙수야 팥빙수야, 녹지마 녹지마.” 2001년 발매된 가수 윤종신의 9집 히트곡 『팥빙수』의 한 구절이다. 당시 청춘을 보낸, 현재 30·40대 즈음의 독자들은 분명 멜로디까지 붙여 따라 불렀으리라. 우연인지 필연인지 이 노래가 나온 시기는 사시사철 빙수를 판매하는 전문 업체가 생겨나 빙수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기 시작한 때였다. 이후 한동안 잠잠했다. 흥행하던 사계절 빙수 가게들은 하나둘 사라지며 자취를 감췄다. 하지만 유행은 돌고 돈다고 했던가. 오늘 다시, 빙수의 시대, 팥빙수의 계절이 왔다. 새로운 이름, 조금 다른 콘셉트를 표방하는 빙수 전문점들이 몇 년 사이 우후죽순 생겼다. 아이스 아메리카노 등 커피에 내줬던 디저트 시장이 다시 빙수로 돌아오고 있다. ‘빙수.. 2015. 7. 10. 당신의 ‘시원차림’은 몇 단계인가요? “여성들은 치마를 입는데 왜 남성들은 반바지를 못 입나!” 남자로서 여름마다 들었던 생각이다. 무더위에도 고집해야 하는 긴바지는 덥기도 하거니와 무언가 불공평해 보였다. 그래서 나는 두어 해 전부터 동료들에게 양해를 구하고 반바지를 입기 시작했다. 우려와는 달리 대부분 ‘입든지 말든지’ 정도의 심드렁한 반응을 보였다. ‘왜 진작 입지 않았을까!’ 싶었지만, 아직 많은 조직에서 반바지는 금기의 영역일 것이다. 이쯤에서 젊은이다운 생각을 한번 해보겠다. 분명 한여름 무더위는 공평하게 찾아온다. 따라서 회사 사장도 부장도 대리도 모두 더운 건 똑같다. (물론 사장실의 에어컨 강도는 불공평할 수 있다) 게다가 공적으로 만나야 하는 협력사나 거래처의 직원도 마찬가지로 더울 것이다. 행정기관은 여름에 강력한 절전 .. 2015. 6. 19. 위안부 피해 할머니의 동반자 '마리몬드' 지난 1월 걸그룹 미쓰에이 멤버인 수지의 휴대전화 케이스가 이슈된 적 있다. 꽃을 눌러 제작한 압화 작품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제품이었다. 디자인의 원작자는 다름 아닌 위안부 피해 할머니. 제작사는 제품에서 나오는 수익을 위안부 할머니를 위해 기부한다고 했다. 실제 작년까지 2년간 누적매출인 7억 원 가운데 1억 원을 위안부 할머니들을 위해 기부했다. 영업이익의 거의 전부에 가까웠다. 그 회사가 바로 ‘마리몬드’다. 마리몬드는 나비를 뜻하는 라틴어 ‘마리포사(Mariposa)’와 새로운 생명과 부활, 회복의 메시지를 담은 고흐의 그림 ‘꽃 피는 아몬드 나무’의 ‘아몬드(Almond)'가 만나 탄생한 이름이다. 나비가 내려앉음으로 꽃이 만개하는 것처럼, 디자인 제품과 콘텐츠로 존귀함의 회복을 실현하고자 한다.. 2015. 6. 5. 그린디자인 제품 개발하는 '에코준컴퍼니' 에코준컴퍼니는 국내 1호 그린디자이너 윤호섭 교수의 제자인 이준서 대표(38세)가 세운 회사다. 이 대표는 3년간 연구조교 생활을 하다가 디자이너로서 더욱 의미 있는 일을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에코준컴퍼니를 설립했다. 처음 선보인 제품은 커피 전문점에서 제공하는 테이크아웃 종이컵 모양의 ‘오리지널 그린 컵’. 옥수수 전분을 소재로 한 친환경 생분해 플라스틱으로 제작한 이 컵은 티백 음료를 마실 때 티백이 컵 안으로 빠지지 않도록 V홈을 낸 것이 특징이다. 이 대표는 오리지널 그린 컵으로 세계 3대 디자인상을 모두 수상하는 영예를 안기도 했다. “일회용 종이컵 쓰지 말고 휴대용 컵을 갖고 다니라는 캠페인을 많이 한다. 그런데 안 갖고 다니는 원인이 무얼까, 불편함이 무엇일까 분석을 하고 편리성을 아이디.. 2015. 6. 5. 청정 시골 재료로 요리하는 '소녀방앗간' 주의하시라! 이름은 소녀방앗간이지만 소녀만 있는 것도 아니고 방앗간은 더욱 아니다. 이곳은 경북 청송지역을 중심으로 현지에서 올라온 신선한 식재료를 이용해 건강한 밥상을 제공하는 밥집이다. 일반 밥집과 다른 점이라면 나물 등 식재료를 현지 생산자로부터 직접 조달할 뿐만 아니라 판매도 하며, 나아가 식당 운영의 궁극적 목표를 생산자들의 생활 안정과 지속가능한 생산활동 추구에 둔다는 점이다. 생산자 가운데서도 주목하는 건 시골의 할머니들이다. 소녀방앗간이란 이름 속 소녀는 음식을 대접하는 사람의 설레는 마음과 함께 생산자인 할머니들의 순수함을 그린 표현이다. 방앗간은 옛날 방앗간이 참깨처럼 원재료도 팔지만, 그 참깨를 짜낸 참기름도 팔듯이 재료와 함께 요리도 판다는 의미에서 지었다. 처음에는 상품판매와 식재.. 2015. 6. 5. “더 나은 세상, 함께 만들어요!” 성수동 소셜벤처 밸리를 가다 서울시 성동구 성수1가2동 가운데서도 도심 속 녹지 공원인 서울숲과 맞닿은 골목, 층고가 낮은 옛 건물들이 다수를 이루어 시각적 편안함을 제공하는 이곳 주택가 골목이 최근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소규모 기업인 소셜 벤처(Social Venture)나 사회적 기업이 속속들이 사무실을 낸 것이다. 처음 이곳에 터를 잡은 건 지난 2012년 아시아공정무역네트워크다. 이 지역은 서울숲과 접해 있고 도심과도 가까웠으며 임대료도 저렴했기 때문이었다. 이듬해인 2013년에는 서울숲 조성에 큰 역할을 한 비영리단체 서울그린트러스트도 이사를 오며 변화의 신호탄을 올렸다. 최근 가속화를 부추긴 건 ‘서울숲 프로젝트’를 추진한 사단법인 루트임팩트. 사회적기업과 사회혁신가를 지원하는 .. 2015. 6. 5.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일체유심조. 모든 것은 마음 먹기에 달려 있다. 몇달전 사무실이 이사를 했다. 단층인 한옥 주택에서 4층 건물의 꼭대기 층으로 이사를 했는데, 모든 주방 집기와 개수대가 갖추어져 있었던 지난 한옥 집과는 달리 이곳은 화장실만 덩그러니 있는, 그야말로 사무공간이었다. 여하튼 가스렌지며 많은 주방 집기들을 처분하고 최소의 것들만 가져 왔다. 그래도 냉장고와 전자렌지, 커피포트 정도는 있어 아주 간단한 인스턴트 요리 정도는 해먹을 수 있는 요량이 됐다. 문제는 며칠 전에 벌어졌다. 수납공간도 없는 탓에 평소 컵이며 그릇을 그냥 바깥에 두거나 뚜껑 없는 상자에 넣어놨었다. 그런데! 사무실을 발칵 뒤집을 사건이 일어났으니, 늦은 밤까지 사무실을 지키던 한 직원이 그릇이 담긴 상자에서 바퀴벌레를 발견한 것이다. 해.. 2015. 6. 3. 적정기술, 기술에 체온을 입히다 휴대전화로 이야기를 시작해볼까 한다. 지난달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발표를 보면 현재 우리나라는 6세 이상 인구 가운데 92.4퍼센트가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2014년 기준 휴대전화 단말기의 교체주기는 평균 1년 7개월이다. 고장은커녕 낡기도 전에 바꾸는 경우도 허다하다는 의미다. 그나마 2012년 1년 6개월, 2013년 1년 5개월로 해마다 이용 기간이 짧아지다가 최근 다소 늘어난 수치다. 사람들은 왜 이리도 자주 고가의 전자제품을 교체하는 걸까? 휴대전화 제조사와 이동통신사의 짝짜꿍으로 탄생한 상술 탓이 크겠지만, 사용자의 입장만 본다면 새로운 기술이 탑재된, 더 좋은, 더 빠른 제품에 대한 욕구가 아닐까 한다. 그리고 우리의 이런 소비가 휴대전화 산업을 더욱 키우고 관련 기술을 발전시키고.. 2015. 6. 1. 이전 1 2 3 4 5 6 7 ··· 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