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모작은 한 해 두 번 농사를 짓는 다는 말인데 같은 작물이 아니라 다른 작물을 재배할 때 쓰이는 말이다. 예를 들어 앞서의 경우처럼 한 번은 양파를 재배하며 수확하고 난 뒤에는 벼를 심는 식이다. 일전에 방문했던 캄보디아 같은 경우는 기후가 좋아 쌀농사만 두 번(혹은 그 이상) 지을 수 있었는데, 이런 경우는 2모작이 아니라 2기작이라고 해야 옳다.
지난 2009년 전북 익산에서는 기후온난화로 아열대성 기후로 옮겨감에 따라 국내 최초로 벼 2기작 재배를 시도한 적이 있다. 농촌진흥청의 시험 논에서 이루어 졌는데, 이 이후로는 소식이 없어 성공인지 아닌지 알 수가 없다. 그래서 일단 시도에서만 의의를 찾아 본 것이다.
지난 글(http://cc.adventure.or.kr/33)에서 다룬 것 처럼 벼는 생육기간과 이삭이 나온 후 영글어지는 적온등을 고려해야 한다. 추운 강원도 지방이 남쪽 지방보다 모내기를 일찍하는 이유가 그것에 있다.
댓글